본문으로 바로가기

News & Insights

  1. DeFi Policy-Maker Toolkit Launch

    DeFi Policy-Maker Toolkit Launch

    KAIST’s Korea Policy Center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collaborated with the World Economic Forum, Wharton and industry leaders to create a clear & concise “DeFi Policy-Maker Toolkit” complete with educational information, case studies, and interactive tools. Read it now and reach out to blockchain@weforum.org with any questions.
    Date2021.06.09
    DeFi Policy-Maker Toolkit Launch 게시글 상세보기
  2. KPC4IR Leads the Global Blockchain Standards Via Korea Innovation Studies​

    KPC4IR Leads the Global Blockchain Standards Via Korea Innovation Studies​

    < The Working Group South Korea is the only group that will investigate the country-level innovation of blockchain at the Global Blockchain Business Council and KAIST student Yujin Bang join the Global Standards Mapping Initiative 2.0 as fellow. > The Korea Policy Center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PC4IR) at KAIST will take the lead for the Global Standards Mapping Initiative (GSMI) 2.0 as the Chair of Working Group South Korea at the Global Blockchain Business Council (GBBC). The GBBC, a Swiss-based non-profit consortium, established the GSMI to systemize blockchain technologies an...
    Date2021.05.18
    KPC4IR Leads the Global Blockchain Standards Via Korea Innovation Studies​ 게시글 상세보기
  3. 블록체인 법학회 디파이 넓게보기 보고서 출간

    블록체인 법학회 디파이 넓게보기 보고서 출간

    소개 탈중앙화 금융(DeFi)은 알고리즘과 스테이블코인, 스마트 컨트랙트로 기존의 금융기관이 조직과 제도에 기대었던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2020년 한 해 동안 가상자산과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의 수가 10배 이상 성장함에 따라 시장은 디파이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사업모델을 발굴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탈중앙화 금융이 제도와 조직구조를 통해 신뢰를 강제하던 기존의 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네트워크와 알고리즘으로 신뢰를 형성하려 하므로, 시장성과 기술적 문제, 운영의 문제 못지 않게 제도적 문제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근대 사회가 수세기에 걸쳐서 정립한 제도가 작동원리부터 생소한 블록체인과 어떻게 공진화할 ...
    Date2021.05.14
    블록체인 법학회 디파이 넓게보기 보고서 출간 게시글 상세보기
  4.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에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기술에 관한 기고문 게재​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에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기술에 관한 기고문 게재​

    < WEF 홈페이지에 기고문이 수록된 모습 > 우리 대학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센터장 김소영)가 코로나19 접촉자 추적앱의 현황 및 과제와 신뢰 구축 방안을 제시한 기고문이 세계경제포럼(WEF) 홈페이지에 5월 5일(수)에 공식 게재됐다. <코로나19 접촉자 추적앱의 현황 및 과제 해결을 위한 신뢰 구축 방안(Digital contact tracing apps help slow COVID-19. Here's how to increase trust.)>을 제목으로 하는 기고문은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기술을 재정의하고, 관련 데이터 운용에 따른 개인정보 유출, 빅테크기업과 각국 정부의 빅브라더 현상 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됐다. 코로나19 접촉자...
    Date2021.05.07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에 코로나19 접촉자 추적 기술에 관한 기고문 게재​ 게시글 상세보기
  5. No Image

    KPC4IR, '한국 블록체인 라운드테이블: 쿠오 바디스 블록체인' 개최

    우리 대학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센터장 김소영)가 우리나라 블록체인의 현황과 향방을 논의하는 <한국 블록체인 라운드테이블 – 쿠오 바디스 블록체인>을 3월 4일(목) 오후 2시에 개최한다.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 이후 새로운 경제를 열어나갈 범용 기반 기술로 중국, 미국 등의 세계 각국은 빠르게 블록체인을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 각 산업 분야 상황에 맞는 기술 조정 ▴새로운 방식의 데이터 운용 지침을 마련 ▴기존 제도와는 다른 탈중앙화 제도 정착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이 남아 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기술·규제 문제와 맞물려 있어 블록체인 상용화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복...
    Date2021.02.24
    KPC4IR, '한국 블록체인 라운드테이블: 쿠오 바디스 블록체인' 개최 게시글 상세보기
  6. KPC4IR, 『미래의 귀환: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대전환』 출간​

    KPC4IR, 『미래의 귀환: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대전환』 출간​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비대면 사회의 부상과 그에 따른 4차 산업혁명의 가속화는 그간의 통념이나 관습, 제도를 뛰어넘는 전방위적인 변화의 쓰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우리 대학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이하 KPC4IR)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각 분야 현황과 4차 산업혁명의 전망을 담은 『미래의 귀환: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대전환』출간했다. KPC4IR 관계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다룬 책이 많이 출간되고 있으나 4차 산업혁명을 각 분야별로 세분화 해 본격적으로 다룬 책은 드물다ˮ고 전했다. 이어, "팬데믹이 바꾼 세상에서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변화에 관해 그동안 다수의 온라인 포럼을 개최했고 그 연장...
    Date2021.01.28
    KPC4IR, 『미래의 귀환: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 대전환』 출간​ 게시글 상세보기
  7. 법학회, 조인디, 카이스트 디파이 웨비나 12일 개최

    법학회, 조인디, 카이스트 디파이 웨비나 12일 개최

    블록체인법학회·조인디·카이스트가 공동주최하는 디파이 웨비나가 1월 12일 오후2시부터 4시까지 진행된다. 해당 웨비나는 조인디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이번 웨비나는 ‘디파이(DeFi, 탈중앙금융)에 대한 법학적 고찰’을 주제로 블록체인법학회·조인디·카이스트가 공동주최하여 진행한다. 지난해 이슈가 됐던 디파이 산업의 현황과 그 쟁점을 법학적으로 고민해보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1부는 연사 세션으로 이정엽 블록체인법학회 학회장(의정부지방법원 부장판사)이 블록체이니즘과 디파이 법적 고찰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어서 박상혁 조인디 기자가 실증 사례를 통해 보는 ...
    Date2021.01.11
    법학회, 조인디, 카이스트 디파이 웨비나 12일 개최 게시글 상세보기
  8. KAIST, 글로벌혁신성장포럼 개최한다

    KAIST, 글로벌혁신성장포럼 개최한다

    기획재정부, 월드뱅크 주최로 9~10일 온라인 생중계 구글, 엔비디아, 블루닷 등 글로벌 테크 리더들 총집합 [디지털투데이 추현우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성장을 전망하고, 스타트업을 통한 개도국의 혁신지원을 방안을 모색하는 온라인 국제포럼을 개최한다. KAIST는 오는 9일과 10일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고양 빛마루방송지원센터에서 제2회 글로벌혁신성장포럼(이하 GIGF 2020)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본 포럼은 기획재정부와 월드뱅크가 공동 주최하고, KAIST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와 본투글로벌이 협력기관으로 함께 진행한다. 포럼은 '코로나19 이후 혁신여건의 변화와 대응전략'을 주제로 총...
    Date2020.12.17
    KAIST, 글로벌혁신성장포럼 개최한다 게시글 상세보기
  9.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 글로벌 아젠다에 기고문 게시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 글로벌 아젠다에 기고문 게시

    < WEF 글로벌 아젠다에 게시된 기고문 캡처 이미지 > 우리 대학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센터장 김소영)가 코로나 이후 온라인 교육의 전면화에 대한 한국 사례의 시사점을 공유한 기고문이 세계경제포럼(WEF)에 홈페이지에 11월 13일 공식 게재됐다. <온라인 교육의 미래: 한국으로부터의 교훈(The future of online education: lessons from South Korea)>을 제목으로 하는 기고문은 온라인 교육을 시행하는 데 있어 장기적 시각 및 기술 정책의 중요성, 하이브리드택트(hybridtact) 교육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됐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IT 인프라와 한국 정부의 적극적인 온라인 교육 시행 정책안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육은 현재 교육 수혜자...
    Date2020.12.01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 WEF 글로벌 아젠다에 기고문 게시 게시글 상세보기
  10. Dr. Kalenzi Cornelius of KPC4IR appeared on THIS Morning Show of TBSeFM

    Dr. Kalenzi Cornelius of KPC4IR appeared on THIS Morning Show of TBSeFM

    Mr. Henry Shinn at THIS Morning Show at TBSeFM hosted Dr. Kalenzi Cornelius of KPC4IR to discuss Artificial Intelligence use in Social media and prospects. Dr. Kalenzi briefly shed some light on how AI can help combat hate comments and support mental health and suicide issues, which have become prevalent due to COVID-19. In closing remarks, Mr. Henry invited him to future discussions on the role of emerging technologies to reset our societies.
    Date2020.11.25
    Dr. Kalenzi Cornelius of KPC4IR appeared on THIS Morning Show of TBSeFM 게시글 상세보기
  11. 9년간 70억이상 지원 받을 기초연구자 17人은 누구?

    9년간 70억이상 지원 받을 기초연구자 17人은 누구?

    기초의학·물리·화학·생명·지구과학 분야 연구자 선정 40대 이하 젊은 연구자 7명 포함···서울대·POSTECH 약진 국내 최고 수준의 기초연구자를 매년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하는 사업 결과가 발표됐다. 총 17명 중 서울대 연구자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POSTECH(포항공대)와 KAIST(한국과학기술원) 등이 이었다. 30대 연구자를 포함해 젊은 과학자가 대거 포함됐다. 정부는 올해 선정한 기초 연구자들에게 각각 연평균 8억원씩 9년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합산하면 한 연구자에게 약 70억원 이상 지원되는 수치다. 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020년 국내 최고 수...
    Date2020.07.07
    9년간 70억이상 지원 받을 기초연구자 17人은 누구? 게시글 상세보기
  12. KAIST Forum Envisions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KAIST Forum Envisions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Global leaders including the CEOs of Minerva and Coursera to join the KAIST online forum to discuss how to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amidst the ever-growing digital disparities An international forum hosted by the KAIST Global Strategy Institute will examine how the disruptions caused by the global pandemic will impact the future of education. Global leaders will reflect on ways to better facilitate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mitigate the digital divide, especially in an era where non-contact environments are so critical. The online forum to be held on June 24 fro...
    Date2020.06.29
    KAIST Forum Envisions Education in the Post-Covid Era​ 게시글 상세보기
  13. No Image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국제포럼 22일 개최​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는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극복하기 위해 KAIST가 실시간 온라인 국제포럼을 개최한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오는 22일(수) 오전 9시부터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E9) 5층 정근모 컨퍼런스 홀에서 `글로벌전략연구소(이하 GSI, Global Strategy Institute)-국제포럼 2020(GSI -IF2020)'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글로벌 협력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이 포럼은 방역과 의료의 문제를 넘어 정치·경제·산업 및 교육시스템 전반에 걸쳐 야기된 국제 사회의 위기를 예측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다방면의 대책과 국제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KAIST가 마련...
    Date2020.04.27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실시간 온라인 국제포럼 22일 개최​ 게시글 상세보기
  14. Long Economic Depressions and Disparities Loom in the Wake of the COVID-19​

    Long Economic Depressions and Disparities Loom in the Wake of the COVID-19​

    < The Global Strategy Institute hosted the inaugural virtual forum on Global Cooperation in the Coronavirus Era on April 22 at KAIST. > The COVID-19 pandemic will lead to long economic depressions around the entire world. Experts predicted that the prevalent inequities among the countries, regions, and individuals will aggravate the economic crisis. However, crises always come with new opportuniti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lidarity will help creating a new normal in the post-coronavirus era. In a very basic but urgent step, global cooperation for managing data is the key to respond...
    Date2020.04.23
    Long Economic Depressions and Disparities Loom in the Wake of the COVID-19​ 게시글 상세보기
  15. 코로나와 AI가 맞붙을 미래戰… 인류 생존을 건 한판 승부

    코로나와 AI가 맞붙을 미래戰… 인류 생존을 건 한판 승부

    [김정호의 AI 시대의 전략] 코로나와 AI가 맞붙을 미래戰… 인류 생존을 건 한판 승부 '컴퓨팅 思考' 미래 경쟁력 결정… 4차 산업혁명 승패도 좌우 英 만 5세 때부터 교육… 알고리즘과 코딩 문제해결 능력 키워 AI 빠르고 정확하고 냉정해 바이러스와 전쟁서 맹활약할 것 김정호 KAIST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은 일종의 블랙박스이다. 그 안을 들여다보거나 해석하거나 설명할 수 없다. 하지만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처리와 예측 성능은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외부 데이터에 의한 학습을 넘어 스스로 데이터를 생산하고 학습하기도 한다. 인공지능이 강력해질 수 있었던 원인은 ...
    Date2020.04.16
    코로나와 AI가 맞붙을 미래戰… 인류 생존을 건 한판 승부 게시글 상세보기
  16. ‘금소법’으로 위축될 금융 혁신, AI로 해결하자

    ‘금소법’으로 위축될 금융 혁신, AI로 해결하자

    [김우창의 4차산업혁명 Insight 12] ‘금소법’으로 위축될 금융 혁신, AI로 해결하자 김우창 서울대 산업공학과, 미 프린스턴대 금융공학 박사, SSCI 학술지‘Quantitative Finance’편집장 2011년 박선숙 당시 민주당 의원의 최초 발의 후 9년 만에 금융 당국의 숙원 법안 ‘금융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금소법)’ 제정안이 3월 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그간 14개의 제정안이 발의됐지만 9건이 기한 만료로 폐기되는 등 최종 통과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있었다. 과도한 규제로 금융회사의 영업을 위축할 수 있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하지만 최근 발생한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 펀드(DLF)와 라임...
    Date2020.04.16
    ‘금소법’으로 위축될 금융 혁신, AI로 해결하자 게시글 상세보기
  17. AI의 창작품, 인간의 예술성에 도전장 던졌다

    AI의 창작품, 인간의 예술성에 도전장 던졌다

    [김정호의 AI시대의 전략] AI의 창작품, 인간의 예술성에 도전장 던졌다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 뉴욕 크리스티 경매서 5억원에 팔려 모방→변형→융합→창조 단계 거치며 고유한 창작 능력 갖춰 음악과 미술, 문학 융합도 가능… 인간의 영역에 끝없는 도전 김정호 KAIST 전기 전자공학과 교수 2018년 10월 19일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인공지능'이 그린 인물 초상화가 43만2500달러(약 5억1500만원)에 팔렸다. '에드몬드 드 벨라미(Edmond de Belamy)'라는 이름이 붙은 이 그림은 프랑스 연구팀이 인공지능을 이용해 그린 그림으로, 역사상 최초로 크리스티 경매에서 거래된 '인공지능 그림'이었다...
    Date2020.04.16
    AI의 창작품, 인간의 예술성에 도전장 던졌다 게시글 상세보기
  18. 中 금융 시장 전격 개방…“韓 기업, 기술력 확보해야”

    中 금융 시장 전격 개방…“韓 기업, 기술력 확보해야”

    [김우창의 4차 산업혁명 Insight 11] 中 금융 시장 전격 개방…“韓 기업, 기술력 확보해야” 김우창 서울대 산업공학과, 미 프린스턴대 금융공학 박사, SSCI 학술지‘Quantitative Finance’ 지난해 여름, 평소 친하게 지내던 중국의 한 인사가 한국의 대형 금융기관과 연결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중국의 모 성(省)이 중앙정부로부터 자산운용사와 보험사 라이선스를 취득할 권한을 부여받았는데, 외국의 유명 금융기관과 조인트벤처 형식으로 회사를 설립하고자 한다는 것이었다. 굳이 외국 업체와 공동으로 하려는 것이 이해되지 않아 이유를 물어보니, 중국 정부 차원에서 금융 시장 개방을 결정했고, 이에 신규 ...
    Date2020.04.16
    中 금융 시장 전격 개방…“韓 기업, 기술력 확보해야” 게시글 상세보기
  19.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하다(하)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하다(하)

    인공지능 엔지니어링의 필요성 딥러닝을 산업현장에서 본격적으로 활용하기에는 공학적 기법이 아직은 부족하다. 아직도 대학 실험실의 도구라는 냄새를 지울 수 없다. 단순한 부품들을 조합해 복잡한 시스템을 만드는 모듈화 기법은 정착되지 않았다. 디버깅 용이성, 견고성(Robustness), 재현성에서 고전적 기계설계는 물론 소프트웨어 공학기법에도 한참 못 미친다. 이러한 상황은 딥러닝 시스템의 현장 배치나 확장 가능성을 심각하게 제한한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의 절차가 딥러닝 시스템 개발에도 필요하다. 즉 요구 사항을 모아서 현재의 문제를 식별하고, 계획을 세우고, 설계하고, 구현하며, 테스트를 거쳐서, 현장에 배...
    Date2020.04.13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하다(하) 게시글 상세보기
  20.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한다(중)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한다(중)

    데이터로부터 학습:딥러닝의 부상 인공신경망은 신경세포의 작동 기재에서 영감을 얻은 학습 및 의사결정 모델이다. 인공신경망은 입력을 처리하여 출력을 내는 함수로 볼 수 있다. 모든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에 해당하는 출력이 나오도록 노드간에 연결된 링크의 연결강도를 조정하는 것을 학습이라고한다. 데이터 학습 능력으로 50년대 각광을 받았던 단층 신경망은 그 성능의 한계가 밝혀 짐에 따라 곧 시들해졌다. 다층 신경망의 훈련을 위하여 80년대 초 '오류역전파'라는 알고리즘이 알려졌으나 2010년에 이르기까지 성과는 미미했다. 여러 계층으로 구성된 큰 인공신경망은 복잡한 함수를 모사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의 수가 수...
    Date2020.04.13
    2020년의 인공지능, 이런 인재를 키워야 한다(중) 게시글 상세보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